CODE Korea
CODE Korea
GraphicIdentityMotion
2025
Pitti Immagine
4
집중호우사이
Between Heavy Showers
Graphic
2025
정태춘 박은옥
4
전기가오리 E-Book, 명함, 시각물아이덴티티디자인
Philo Electro Ray E-Book, Business Cards, Visual Identity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
2025
전기가오리
4
눈꺼풀 안쪽의 정원
A Quiet Garden Behind My Eyes
Graphic
2025
조아영
3
설문대할망전시관 재개관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the Reopening of the Seolmundaehalmang Complex
GraphicMotion
2025
설문대할망전시관
4
새로움아이 아이덴티티 & 웹사이트
Saeroumi Identity & Website
IdentityMotionWebsite
2025
새로움아이
3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마나 모아나: 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 키비주얼 디자인
Key Visual Design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pecial Exhibition
Manamoana: Art of the Sacred Sea, Oceania
Graphic
2025
국립중앙박물관
5
정의의 그늘 아래에서
Under the Shadow of Justice
Editorial
2025
후마니타스
3
유영하는 세계: Bed, Bath, Bus
Floating World: Bed, Bath, Bus
GraphicMotion
2025
세화미술관
4
<떨어지는눈> 전시디자인
Take My Eyes Off
EditorialGraphicMotionSpace
2025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4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 웹사이트 디자인
Seoul Drum Festival 2025 & Website Design
EditorialGraphicIdentityMotionWebsite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4
2025-26 서울식물원 기획전 우리들의 자연, 행성적 공존
2025–26 Seoul Botanic Park Exhibition Our Nature, Planetary Coexistence
Graphic
2025
서울식물원
5
세화미술관 웹사이트
Sehwa Museum of Art Website
Website
2025
세화미술관
3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개관전
Opening Exhibition of the Children’s Museum at the National Museum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raphicMotion
2025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4
서치라이트 웹사이트 및 아이덴티티 디자인
Searchlight Website & Identity Design
IdentityWebsite
2025
로파 서울
3
어린이박물관 아이덴티티 디자인
Identity Design for Children’s Museum
GraphicIdentity
2025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2
한양대학교 박물관 특별전 《시멘트:모멘트》
Cement: Moment Special Exhibition Catalogue for the Hanyang University Museum
Editorial
2025
한양대학교박물관
5
서울백화점
Local to Seoul 100 Diaries
GraphicMotion
2025
문화역서울284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3
불닭 브랜드 웹사이트
Buldak Brand Website
Website
2025
불닭삼양식품
4
2025 올리브영 프로젝트
2025 OLIVEYOUNG Project
EditorialGraphic
2025
올리브영
5

전기가오리 E-Book, 명함, 시각물아이덴티티디자인

Philo Electro Ray E-Book, Business Cards, Visual Identity Design

2025
EditorialGraphicIdentity

전기가오리는 사회정치적인 주제의 철학적 측면에 주목하고, 반엘리트주의를 지향하며, 철학을 둘러싼 지식 격차를 해소하고자 하는 학문 공동체입니다. 철학을 신화나 권위가 아닌, 누구나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영역으로 끌어내고자 하는 목표 아래에, 각종 온오프라인 스터디 자료를 출판하는 자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상의실천은 전기가오리의 명함, E-Book, 시각물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전기가오리에서의 브랜드 경험과 콘텐츠 제작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접근법 아래에, 시각적으로는 전기가오리의 철학 텍스트와 교육 콘텐츠를 가독성 있고 일관성 있게 전달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무료 배포된 서체만을 활용하여 내부 운영자로 하여금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강화된 시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기가오리의 개성과 철학적 이미지를 시각 요소와 타이포그래피에 반영하였으며, 키컬러의 확장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직관적으로 범주화하였습니다. 향후 다양한 콘텐츠를 일관된 형식으로 확장·배포할 수 있는 디자인적 기반을 마련하고 전기가오리의 콘텐츠를 더 많은 독자에게 깊이 있고 매력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핵심적인 시각·기술적 토대를 디자인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디자인. 임민재

클라이언트. 전기가오리

Philo Electro Ray is an academic community that focuses on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socio-political issues, advocates anti-elitism, and seeks to bridge the knowledge gap surrounding philosophy.   Under the goal of bringing philosophy out of the realm of myth and authority and into an area where anyone can study together, it operates its own platform that publishes various online and offline study materials.

Everyday Practice developed Philo Electro Ray’s business cards, E-Book, and visual identity system. Under the approach of enhancing brand experience and content production efficiency at Philo Electro Ray, the visual design focuses on conveying Philo Electro Ray’s philosophical texts and educational content in a readable and consistent manner. The design utilizes only freely distributed fonts to enable internal operators to produce content efficiently and sustainably. Additionally, we reflected Philo Electro Ray’s unique personality and philosophical imagery in visual elements and typography to provide a visually enhanced brand identity experience, and used an expanded color palette to intuitively categorize diverse content. We have endeavored to establish a design foundation that enables the consistent expansion and distribution of diverse content, as well as a core visual and technical foundation to convey Philo Electro Ray’s content to a wider audience in a deeper and more engaging manner.

Project Director. Joonho Kwon

Design. Minjae Lim

Client. 전기가오리